전체 글(17)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역할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관리 프로그램의 집합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생성과 조작을 담당하는데 '어떻게 관리할까?'의 초점을 두고 학습하면 좋을 것 같다. 좋은 관리에 대해 생각해보자. 기본적으로 정의가 명확해야 한다. 그리고 조작이나 접근 방법이 쉽고 단순한 형태여야 한다. 데이터가 다루어지는 과정에서는 정확하고 일관성 있어야 작업 하기 수월할 것이다. 위에서 열거했던 관리 측면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3가지 기능별로 분류를 해보면, 1.데이터 정의 기능(Definition Facility)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물리적 구조과 그 사이의 사상을 정의하는 기능 2.데이터 조작 기능(Manipulation Facility) 데이터의 검색, 삽입, 삭제, 변..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단계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배치 형태에 따라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로 분류 된다. - 논리적 구조 : 사용자, 응용 프로그래머 - 데이터 베이스에 전개되는 형태 - 물리적 구조 : 데이터 - 물리적 저장 장치에 배치되는 형태 다시 말하자면, 논리적 구조는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의 생각에 의해 구조와 되는 방법이고 물리적 구조는 실제 물리 저장 장치 위에 저장 레코드를 이용해 구조화 되는 방법이다. 시각화 하여 표현하면, 데이스의 구조는 3단계로 쪼개어 볼 수 있다. 일단, 스키마에 대한 개념부터 집고 넘어가자. 스키마란 데이터의 성질, 관계, 제약 조건에 관한 정의를 총징하는 것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설계를 의미한다. 굉장히 포괄적인 의미이다. 데이터의 논리 구..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장, 단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파일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탄생한 개념이라고 하였다. 데이터를 정의하고, 조작하며 제어하는 총 3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파일 시스템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지만 단점 또한 존재한다. - 단점 동시 접근성이 좋다보니 사용자가 접속되는 수에 따라 컴퓨터의 자원을 많이 사용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중앙 집중 관리 방식으로 운영되다 보니 데이터베이스에 장애가 발생하면, 시스템 전체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이에 따라 백업과 회복하는 방법도 복잡할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점들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게 된다. - 장점 중앙 집중식 관리로 인해 효율적 접근 제어를 하다보니(공유) 당연히 보안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되고, 사용자별로 접근 ..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앞서, 데이터베이스를 다음과 같이 정의 하였다. 다양한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 가능하며, 중복 없이 최적화된 데이터를 쉽게 접근하며 저장하고, 이를 운영하는 것.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일관되고 무결한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것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라고 하는데, 흔히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나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단어로 취급된다. 명백히 다른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그 차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방식인 파일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탄생 되었다. 같은 양식의 자료로 서울지역 맛집 후기를 작성한다고 하자. 오늘 작성한 사람과 내일 작성한 사람의 내용이 다를 수 있고, 서로 다르게 작성한 자료라..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정의와 속성
데이터베이스는 1963년에 처음 컴퓨터 중심의 데이터베이스 개발과 관리라는 심포지엄에서 공식적으로 소개 되었다고 한다. 요즘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빅데이터가 화두에 자주 오르내리고 있는데, 아마도 많은 데이터 중에서 필요에 따라 유의미한 정보들을 골라 내는일이 점점 중요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데이터베이스는 왜 등장하게 되었는지 잠시 생각해보자. 방대한 데이터 중에서 내가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려고 하자. 맛있다고 소문난 음식점에 친구와 같이 가려고 하는데, 친구를 만나기까지 약 15분의 시간이 남았다고 치면 아마 우리 머릿속엔 이런 생각이 들을 것이다. 1. 어디든 검증된 곳으로 신속하게 찾고 싶다. -> 배고프고, 귀찮고, 모르겠고... 빨리 이 숙제를 끝내보자. 뭐라고 검색해야 할까?! 00맛..
2020.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