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9. 28. 19:26ㆍ데이터베이스
앞서, 데이터베이스를 다음과 같이 정의 하였다.
다양한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 가능하며, 중복 없이 최적화된 데이터를 쉽게 접근하며 저장하고, 이를 운영하는 것.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일관되고 무결한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것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라고 하는데,
흔히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나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단어로 취급된다.
명백히 다른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그 차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방식인 파일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탄생 되었다.
같은 양식의 자료로 서울지역 맛집 후기를 작성한다고 하자.
오늘 작성한 사람과 내일 작성한 사람의 내용이 다를 수 있고, 서로 다르게 작성한 자료라도 내용이 겹칠 수 있다.
결국 데이터가 중복되어 시간과 저장 공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얼마나 비효율적인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중복과 종속성(변경이 쉽지 않음)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대신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삽입, 삭제, 수정이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자, 이렇게 되면 우리는 실시간으로 다른 사람이 작성하고 있는 데이터를 제외하고 나머지 내용들을 채워 나갈 수 있으니 굉장히 군더더기 없는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우리는 이 효율적 처리 방식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주요 기능이라고 부르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정의 기능(Definition Facility) :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2. 조작 기능(Manipulation Facility) : 데이터를 삽입, 삭제, 수정, 검색하는 연산을 할 수 있다.
3. 제어 기능(Control Facility) : 데이터는 항상 정확하며, 장애가 발생하여도 회복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역할 (0) | 2020.09.28 |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역할 (0) |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단계 (0) |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장, 단점 (0) |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정의와 속성 (0) | 202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