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9. 28. 20:11ㆍ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배치 형태에 따라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로 분류 된다.
- 논리적 구조 : 사용자, 응용 프로그래머 - 데이터 베이스에 전개되는 형태
- 물리적 구조 : 데이터 - 물리적 저장 장치에 배치되는 형태
다시 말하자면, 논리적 구조는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의 생각에 의해 구조와 되는 방법이고 물리적 구조는 실제 물리 저장 장치 위에 저장 레코드를 이용해 구조화 되는 방법이다.
시각화 하여 표현하면, 데이스의 구조는 3단계로 쪼개어 볼 수 있다.
일단, 스키마에 대한 개념부터 집고 넘어가자.
스키마란 데이터의 성질, 관계, 제약 조건에 관한 정의를 총징하는 것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설계를 의미한다.
굉장히 포괄적인 의미이다.
데이터의 논리 구조를 설명하는 정의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1. 외부 단계, 2. 개념 단계, 3. 내부 단계
- 외부 단계 :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쉽게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하는 방법.
- 개념 단계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
- 내부 단계 :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를 표현하는 방법.
이렇게 각각의 단계들에서 스키마를 기술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으로 작성한다.
- 외부 스키마 :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와 관련된 개체, 관계 및 제약 조건
- 개념 스키마 : 모든 개체의 관계, 유지해야할 제약 사항,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권한, 보안, 무결성 규칙
- 내부 스키마 : 저장 레코드의 형식, 인덱스의 유/무, 저장 데이터 항목의 표현 방법,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결국, 각각의 단계별로 접근하는 범위나 방식 요구하는 조건들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람들이 동시에 공유하고 통합하고 저장하며 운영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을 세분화 하여 용도와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역할 (0) | 2020.09.28 |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역할 (0) |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장, 단점 (0) |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0) |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정의와 속성 (0) | 202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