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
-
히스토그램
히스토그램이란 영상의 픽셀값들에 대한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영상분석을 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히스토그램의 가로축은 영상의 픽셀값이고 세로축은 픽셀값에 대한 빈도수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영상으로부터 히스토그램을 적성하기 위해서 도수분포표(frequency table)를 작성한 후 도수분포표로부터 히스토그램을 작성한다. 앞에서 히스토그램을 통하여 영상의 픽셀값들에 대한 분포를 알 수 있었다. 아래 그림은 히스토그램과 영상과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a)와 (b)는 밝은 영상과 어두운 영상에서 히스토그램을 보여주고 있고, (c)와 (d)는 명암대비에 따른 히스토그램을 보여주고 있다. (a)와 (b)에서처럼 어두운 영상일수록 작은 픽셀값 근처인 왼쪽 편에 픽셀값들이 많이 치우쳐있고 밝은 영상일수록 픽셀값이..
2020.09.28 -
컬러 영상
이차원 m x n 컬러영상에서 픽셀(i, j)의 k번째 원소는 일차원 영상에서 i x n x 채널수 + j x 채널 수 + k번째 픽셀에 해당된다. 여기서 i=0, ..., m-1이고, j=0, ..., n-1, k=0, 1, 2이다. 예를 들어, 5 x 5 컬러 영상에서 3행 3열의 첫 원소를 1차원 배열로 나타내보면, 흑백 영상은 1픽셀이 1바이트를 할당하지만, RGB컬러 영상은 1픽셀이 3채널로 구성됨으로 채널 당 1바이트씩 할당되므로 BGR순으로 픽셀 당 3바이트가 할당된다. 즉, 컬러 영상 배열은 (B0, G0, R0), (B1, G1, R1), ..., (Bn, Gn, Rn) 순서로 저장되어 있으며 (B0, G0, R0)는 첫 번째 픽셀의 파란색, 녹색, 빨간색을 나타낸다. 따라서 3행 3열의..
2020.09.28 -
개체 관계 모델과 논리적 데이터 모델
데이터 모델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개념적 방법과 논리적 방법이 있다고 하였다. 그 중에서 개념적 단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가장 좋은 도구) 모델인 E-R 모델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자. 개체 관계 모델 중 하나인 E-R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은 직관적으로 개체, 속성, 관계(1:1, 1:n, n:n)를 시각화하는 그림표이다. 개체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중요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속성은 개체가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나타내는데, 대부분 속성 각각의 값들은 의미가 없지만 속성들이 모여 개체를 나타낼 때는 유의미한 값이 된다. 관계는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를 표현한 것으로 대응관계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개체들간의 연관성을 볼 수 있다. 논리적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
2020.09.28 -
데이터 모델링과 데이터 모델
우리는 다양한 데이터들 사이에서 목적에 따라 유의미한 데이터들을 분류하여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쓴다. 그런데 이 데이터들이 전산화되어 컴퓨터 내부에 저장되는 과정을 데이터 모델링이라고 부른다. 예전에 수기로 기입했던 가계의 장부들을 컴퓨터에 일일이 재작성하여 필요시 편리하게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하지만, 이 일을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굉장히 고통스러운 노동의 시간을 거쳐야 한다. 그렇게 때문에 모든 수기의 내용을 컴퓨터로 옮겨 넣을 것인가? 아니면 중요한 정보들만 입력할 것인가?는 스스로 혹은 타인에 의해 결정해야(돼야) 된다. 다시 정리하면, 현실 세계에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논리적 구조로 만드는 과정이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이다. 단계별로 ..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개념 요약
길고 긴 여정이 끝났다.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다시 요약하면서 왜 우리가 데이터베이스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지 생각을 해보자. 데이터란 날 것의 상태다. 흩어져있는 상태의 값들을 정리하는 것이 정보이다. 우리는 유용한 정보로 데이터들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예를들어 각기 다른 연필 10자루는 데이터가 될 것이요, 이것을 사람에 따라서 높이 순, 색상 순, 크기 순 등으로 분류해 놓는 과정을 처리라고 하며, 이런 분류 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할수 있게 하는 것이 정보가 될 것이다. 정보가 점점 많아지다 보니 사람들은 이것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어졌다. 그리하여 데이터베이스라는 개념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는데, 많은 양을 관리하더라도 1. 중복 없이 2. 실시간으로 접근 가능하며 3. 동시에 ..
2020.09.28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역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다른 용어이다. 헷갈릴 수 있으니 의미를 명확히 해둘 필요가 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DBS : Databse System)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들의 의해 어떤 목적에 맞게 데이터를 조작, 변경, 획득하는 시스템이다. 내 입맛에 맞도록 변경하는 시스템으로, 관리를 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는 명백히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목적에 맞도록 수정하려면 모두가 이해하고 알 수 있는 형태로 변경을 해줘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데이터베이스 언어(DBL : Database Language)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사용자간의 통신을 한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중간에서 데이터베이스 언어로 연결해주는 역할인 것이다. 데이..
2020.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