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체 관계 모델과 논리적 데이터 모델

2020. 9. 28. 21:11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모델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개념적 방법과 논리적 방법이 있다고 하였다.

그 중에서 개념적 단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가장 좋은 도구) 모델인 E-R 모델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자.

개체 관계 모델 중 하나인 E-R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은 직관적으로 개체, 속성, 관계(1:1, 1:n, n:n)를 시각화하는 그림표이다.

 

개체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중요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속성은 개체가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나타내는데, 대부분 속성 각각의 값들은 의미가 없지만 속성들이 모여 개체를 나타낼 때는 유의미한 값이 된다.

관계는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를 표현한 것으로 대응관계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개체들간의 연관성을 볼 수 있다.

 

 

<E-R 모델>

 

논리적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뜻하며, 관계 표현 방법에 따라 관계 데이터 모델, 계층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로 구분된다.

관계 데이터 모델 : 통일적이고 단순화된 데이터로 사용자에게 가장 뛰어난 논리 구조를 지원한다.

계층 데이터 모델 : 데이터 간의 관계를 순서 트리 구조로 나타낸다.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 그래프 구조 형태로 표현하고 오너-멤버 관계로 되어 있다. 오너는 1에 해당하는 레코드 타입을 말하고, N에 해당하는 레코드 타입을 멤버 레코드라고 한다.